1. Internet vs internet의 차이
Internet은 internet의 포함된다.
Internet : 고유명사, TCP/IP로 운용되는 network of networks -> 가장 대표적으로 우리가 쓰고 있는 것.
ineternet: 일반적인 용어, network of networks, network들을 묶어서 만든 하나의 network, TCP/IP로 운용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2. Internet의 장치적 관점
- device == host == end systems : Internet edge 부분에서 앱을 구동하는게 목적
- Packet switches: 최대한 신속히 packet을 forwarding 하는 것.
- packet: message를 적절하게 나눠서 보내는 전송단위
- forwarding vs routing
- forwarding: 경로가 일치하도록 router to router, forwarding table을 활용해서 적절한 router의 위치로 이동(forwarding table은 routing algorithm을 통해 생성), 각 router마다 forwarding table을 가지고 있으며, line card마다 생성됨, router가 독자적으로 결정
- routing: source to dest까지의 경로 , 사실상 forwarding이 합쳐져서 routing을 만듦, global한 세팅으로 router들이 모두 일관(Consistent)되어야 한다.
- Ethernet switch: router에 traffic을 전달, router로부터 traffic을 전달 받음.
- Communication links(매체)- fiber, satellite, radio 대역폭은 전송효율과 비례
- Network : 1,2,3의 collections.
3. Internet의 software 관점
protocol: 규약, 명시 -> software나 펌웨어로 받음. ex) HTTP, OTT, Skype, TCP, IP, WIFI, 4G
4. Internet의 service관점
Internet은 Infrastructure api를 제공(application을 가능하게 해준다.)
5.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 ex) skt, kt, lg
- ISPS - 다수의 ISP로 연결된 형태로 동작
6. Protocol - 규약, 형태 규정, 메시지 전송에 관해 취해야할 행동
7. host: client vs server => 역할 구분: 서비스를 제공 or 요청
8. Access network: host들이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가장 먼저 접근해야하는 장소(host 직접 연결x)
9. network core의 기능
수많은 ISP, access network의 연결, router들만 포함
- router : multiple LAN card, line card(보드) -> 각각의 특수한 일을 하는 컴퓨터(IP 여러 개)
- IP 주소는 컴퓨터에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에 부여
- switch fabric: line card를 연결해주는 네트워크, 하나의 router에 들어 있음. ->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에 있는 컴퓨터들을 연결해주는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