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v4

- 컴퓨터가 네트워크에서 서로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 IPv4는 32비트로 구성된 IP 주소 체계

- 192.168.0.1 같은 IP는 실제로는 32개의 0과 로 구성된 2진수

 

서브넷마스크와 비트마스킹

-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를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영역으로 나누는데 사용

- 1로 되어 있는 부분이 네트워크 주소를 의미, 나머지 0은 호스트 식별자를 의미한다.

- 비트마스킹을 통해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트 캐스트 주소 등을 계산할 수 있음.

- 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기 위해 사용

- 예를 들어, 192.168.1.0/24 서브넷은 192.168.1.1 ~ 192.168.1.254까지 254개의 호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

IP 주소:        192.168.1.10      → 11000000.10101000.00000001.00001010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네트워크 주소: IP & 서브넷 마스크

- 네트워크 전체를 대표하는 주소

11000000.10101000.00000001.00001010 (IP)
AND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서브넷 마스크)
=
11000000.10101000.00000001.00000000 → 192.168.1.0 (네트워크 주소)

 

브로드캐스트 주소

-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네트워크 안의 모든 호스트에게 동시에 메시지를 보낼 때 사용하는 주소

- 같은 네트워크 안의 모든 컴퓨터에게 공지사항이나 DHCP 요청 등을 보낼 떄 필요하다

broadcast = ip | ~subnetMask

 

DHCP 요청이란?

더보기

브로드캐스트 주소에서의 DHCP 요청은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받기 위해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 상의 모든 장치에 보내는 요청입니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아직 자신에게 할당된 IP 주소가 없기 때문에 특정 장치로 직접 연결할 수 없어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요청을 보내는 것입니다.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과정에서 클라이언트는 DHCP Discover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로 전송합니다. 이 메시지는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DHCP 서버가 수신할 수 있으며, 서버는 이에 대해 DHCP Offer로 응답합니다. 이후 클라이언트는 원하는 IP를 요청(DHCP Request)하고, 서버가 이를 승인하면(DHCP Acknowledgment), IP 주소가 할당됩니다.

 

이 과정이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하는 이유는 클라이언트가 초기에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 위치를 모르기 때문입니다.

 

비트마스킹을 사용하는 이유

빠른 계산 비트 연산은 CPU에서 가장 빠른 연산 중 하나로, IP 계산에 매우 적합합니다.
범위 판단 어떤 IP가 특정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판단할 때, 비트마스킹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터링 방화벽, 라우팅, NAT 등에서 주소 필터링이나 범위 지정에 사용됩니다.

 

이렇게 네트워크를 나누는 이유는 뭘까?

1. IP 낭비 방지

-> 큰 네트워크를 작은 단위로 나눠서 효율적으로 IP를 할당할 수 있음.

2. 보안/관리 편리

-> 부서마다 네트워크를 나눠 놓으면 트래픽 제어, 접근 통제 등이 쉬워짐.

3. 브로드캐스트 제한

-> 서브넷이 커지면 브로드캐스트 트래픽이 많아져 네트워크가 느려질 수 있음. 서브넷을 나누면 트래픽이 분산됨.

 

CIDR 표기법

- CIDR(사설망 포함 모든 네트워크에서 사용)은 IP 주소 뒤에 / 숫자를 붙여서 네트워크 부분의 비트 수를 나타내는 방식

  • 192.168.1.0/24 → 앞 24비트는 네트워크, 나머지 8비트는 호스트
  • 192.168.1.0/28 → 앞 28비트는 네트워크, 뒤 4비트는 호스트

기존의 클래스 기반 네트워크 (Class A/B/C)는 고정된 크기의 네트워크만 가능했다.

- Class C는 항상 /24, 즉 254개의 호스트만 가능

- 그러나 이렇게 하면 IP 낭비가 심하게 된다. -> 따라서 CIDR 방식은 유연하게 서브넷을 나눌 수 있도록 만듦.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리1  (0) 2023.06.22

1. Internet vs internet의 차이

Internet은 internet의 포함된다.

Internet : 고유명사, TCP/IP로 운용되는 network of networks -> 가장 대표적으로 우리가 쓰고 있는 것.

ineternet: 일반적인 용어, network of networks, network들을 묶어서 만든 하나의 network, TCP/IP로 운용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2. Internet의 장치적 관점

  1. device == host == end systems : Internet edge 부분에서 앱을 구동하는게 목적
  2. Packet switches: 최대한 신속히 packet을 forwarding 하는 것.
    1. packet: message를 적절하게 나눠서 보내는 전송단위
    2. forwarding vs routing
      1. forwarding: 경로가 일치하도록 router to router, forwarding table을 활용해서 적절한 router의 위치로 이동(forwarding table은 routing algorithm을 통해 생성), 각 router마다 forwarding table을 가지고 있으며, line card마다 생성됨, router가 독자적으로 결정
      2. routing: source to dest까지의 경로 , 사실상 forwarding이 합쳐져서 routing을 만듦, global한 세팅으로 router들이 모두 일관(Consistent)되어야 한다.
    3. Ethernet switch: router에 traffic을 전달, router로부터 traffic을 전달 받음.
  3. Communication links(매체)- fiber, satellite, radio 대역폭은 전송효율과 비례
  4. Network : 1,2,3의 collections.

3. Internet의 software 관점

protocol: 규약, 명시 -> software나 펌웨어로 받음. ex) HTTP, OTT, Skype, TCP, IP, WIFI, 4G

 

4. Internet의 service관점

Internet은 Infrastructure api를 제공(application을 가능하게 해준다.)

 

5.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 ex) skt, kt, lg

  1. ISPS - 다수의 ISP로 연결된 형태로 동작

6. Protocol - 규약, 형태 규정, 메시지 전송에 관해 취해야할 행동

 

7. host: client vs server => 역할 구분: 서비스를 제공 or 요청

 

8. Access network: host들이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가장 먼저 접근해야하는 장소(host 직접 연결x)

 

9. network core의 기능

수많은 ISP, access network의 연결, router들만 포함

  1. router : multiple LAN card, line card(보드) -> 각각의 특수한 일을 하는 컴퓨터(IP 여러 개)
  2. IP 주소는 컴퓨터에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에 부여
  3. switch fabric: line card를 연결해주는 네트워크, 하나의 router에 들어 있음. ->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에 있는 컴퓨터들을 연결해주는 network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와 서브넷 마스크  (0) 2025.04.24

+ Recent posts